삼국·남북국 시대 - 고대의 정치 - 백제

BACK
광고배너
 
백제의 성립(1~3세기) 해설보기
  • 온조는 하남 례성에 도읍을 정하고 나라 이름을 백제라 하였다.
  • 고이왕은 목지국을 정복해 을 완전히 장악하였다.
  • 고이왕은 6좌평16관등의 중앙 관제를 정비하였다.
  • 고이왕은 옷의 색을 달리하는 복 제도를 마련하였다.
4세기 백제 - 근초고왕, 침류왕 해설보기
  • 근초고왕은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을 전사시켰다
  • 근초고왕은 을 정복하여 영토를 확장하였다.
  • 근초고왕은 중국의 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.
  • 근초고왕이 왜에 전해준 것으로 보이는 칠지를 통해 백제와 왜의 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.
  • 근초고왕은 고흥으로 하여금 역사서 『서기』를 편찬하게 하였다.
  • 침류왕은 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하였다.
5세기 백제 - 비유왕, 개로왕, 문주왕, 동성왕 해설보기
  • 장수왕의 남진 정책에 대비해 백제의 비유왕과 신라의 눌지 마립간이 나제 동맹을 맺었다.
  • 개로은 고구려를 견제하고자 북위에 국서를 보냈다.
  • 고구려 장수왕의 침입으로 수도 한성이 함락되고 개로왕이 전사하였다.
  • 개로왕의 아들 문주왕은 한성에서 웅진으로 천도하였다.
  • 장수왕이 죽자 백제 동성왕과 신라 소지 마립간은 혼 동맹을 맺었다.
6세기 백제 - 무령왕, 성왕 해설보기
  • 무령왕은 지방의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.
  • 무령왕은 중국 의 양과 친선 관계를 맺었다.
  • 무령왕은 남조의 영향을 받은 돌무덤인 무령왕릉의 주인공이다.
  • 무령왕릉은 백제 시대의 유물로 에 위치해 있다.
  • 성왕은 웅진에서 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었다.
  • 성왕은 중앙 관청을 22로 정비하였다
  • 성왕은 수도를 5와 지방을 5으로 정비하였다.
  • 성왕은 신라와 연합하여 하류 지역을 일시적으로 되찾았으나 신라 진흥의 배신으로 유역을 상실하였다.
  • 성왕은 관산성 전투에서 매복한 신라군에 의해 전사하였다.
7세기 백제 - 백제 멸망과 부흥 운동 해설보기
  • 의자은 신라를 공격하여 대야성 등 40여 개의 성을 함락시켰다.
  • 의 백제군이 황산에서 유신이 이끄는 신라군에게 패하였다.
  • 이 부여풍을 왕으로 추대하고 류성에서 백제 부흥 운동을 전개하였다.
  • 흑치상지존성에서 소정방이 이끄는 당 군을 격퇴하였다.
  • 백제 부흥 운동 세력과 왜의 연합군이 백강 전투에서 나·당 연합군에 패하였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