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제 강점기 - 독립운동 - 1910년대

BACK
광고배너
 
1910년대 국내 독립운동
  • 1910년대 독립 의군는 고종의 를 받은 임병찬이 의병을 모아 결한 비밀 단체로 주의를 내세웠다.
  • 1910년대 독립 의군부는 국권 반환 요구서를 조선 총독부에 발송하고자 하였다.
  • 1910년대 박상진의 주도로 대구에서 결성된 대한 광복공화정체의 근대 국가 수립을 목표로 하였다.
  • 1910년대 대한 광복회는 친일 부호 , 독립군 양성을 위한 군자 모집 등의 활동을 하였다.
1910년대 국외 독립운동
  • 1910년대 서간도 지역에 한인 자치 기구인 학사가 설립되었다.
  • 1910년대 서간도 지역에 독립군 양성을 위한 흥 강습소가 설립되었고, 이후 신흥 무관 학교를 거쳐 지청천이 주도한 로 군정서로 발전하였다.
  • 1910년대 북간도 지역에 대종교도 중심의 중광이 결성되어 항일 무장 투쟁에 앞장섰고, 이후 김좌진 주도로 로 군정서로 재편되었다.
  • 1910년대 연해주에서 이상업회를 세우고 업신문을 발간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.
  • 1910년대 연해주에서 이상을 정통령, 이동를 부통령으로 하는 대한 광복군 정부가 세워져 무장 독립 투쟁을 준비하였다.
  • 1910년대 연해주에서 1차 세계 대전 이후의 새로운 국제 정세에 대비하기 위해 대한 국민 의회가 결성되었다.
  • 1910년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대한인 국민를 중심으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.
  • 1910년대 미국 와하이에서 박용만 중심으로 대조선 국민 군단을 결성하고 군사 훈련을 하였다.
  • 1910년대 만주에서 민족 지도자들이 대한 독립 선언서(무오 독립 선언서)를 발표하였다.
  • 1910년대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2.8 독립 선언서를 발표하였다.
  • 1910년대 중국 상해에서 신한 청년당을 결성하여 파리 강화 회의을 대표로 파견하였다.
1919년 3·1 운동
  • 3·1 운동은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, 도쿄 유학생들의 2·8 독립 선언, 상해 신한 청년당의 파리 강화 회의 대표 파견 등에 영향을 받아 일어났다.
  • 3·1 운동은 의 인산일을 기해 일어났으며, 신분·직업·종교에 구별 없이 각계각층이 참여하였다.
  • 3·1 운동 전개 과정에서 일제가 화성 학살 등을 자행하였다.
  • 3·1 운동은 일제의 통치 방식이 이른바 문화 통치로 바뀌는 계기가 되었다.
  • 3·1 운동은 국외 무장 독립 투쟁이 활발해지는 계기가 되었다.
  • 3·1 운동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는 배경이 되었다.
1919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
  •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연해주의 대한 국민 의회와 서울의 성 정부 그리고 상하이 임시 정부를 통합하여 상하이에서 수립되었다.
  •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삼권 분립에 입각한 공화 체제를 채택하고 대통령으로 이승만을, 국무총리로 이동휘를 선출하였다.
  •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국내 비밀 행정 조직인 연통를 통해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였다.
  •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영국인 조지 쇼가 운영하는 이륭양행에 교통을 설치해 국내외 정보를 수집하였다.
  •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임시 사료 편찬 위원회를 두고 한·일 관계 사료을 발간하였다.
  •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독립 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독립신문을 발행하였다.
  •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독립운동 자금 마련을 위해 독립 공채를 발행하였다.
  •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파리 강화 회의에 김규식을 통해 독립 청원서를 제출하였다.
  •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미국에 구미 위원부를 설치하여 외교 활동을 전개하였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