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제 강점기 - 일제 강점기의 정치·경제

BACK
광고배너
 
1910년대 무단 통치
  • 1910년대 조선 총독부 자문 기관으로 친일파로 구성된 중추이 설치되었다.
  • 1910년대 헌병이 일반 경찰 업무까지 간여하는 헌병 경찰 제도가 운영되었다.
  • 1910년대 정식 재판 없이 한국인을 처벌하는 즉결 처분권을 행사하였다.
  • 1910년대 한국인에게만 차별적으로 적용한 조선 태형이 제정되었다.
  • 1910년대 제복을 입고 을 찬 교사가 강압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였다.
  • 1910년대 조선 불교의 자주성을 말살하기 위해 찰령을 제정하였다.
  • 1910년대 제1차 조선 교육령의 시행으로 보통학교의 수업 연한이 6년에서 4으로 단축되었다.
1910년대 경제 침탈
  • 1910년대 한국인의 기업 활동을 억제하기 위해, 회사 설립 시 총독의 허가를 얻도록 하는 회사을 공포하였다.
  • 1910년대 지하자원을 강탈하기 위해 조선 광업을 제정하였다.
  • 1910년대 기한 내에 소유자가 직접 토지를 신고하게 하는 토지 조사령이 제정되었다.
  • 1910년대 토지 조사 사업은 근대적 토지 확립을 명분으로 내세웠으나 실상은 식민지 통치의 기반 확대가 목적이었다.
  • 1910년대 토지 조사 사업 때 소유관계가 불분명한 토지를 총독 소유로 편입시켰다.
  • 1910년대 토지 조사 사업으로 조선 독부의 재정 수입이 증대되고, 동양 척식 주식회사의 소유 농지가 늘어났다.
  • 1910년대 토지 조사 사업으로 소작농의 관습적 경작이 부정되어 조선 농민의 몰락을 초래하였다.
  • 1910년대 토지 조사 사업으로 일본에서 한국으로의 농업 이 증가하고, 만주와 연해주로 하는 조선 농민들이 늘어났다.
1920년대 이른바 문화 통치
  • 1920년대 일제는 3·1 운동을 계기로 통치 방식을 무단 통치에서 이른바 문화 통치로 바꾸었다.
  • 1920년대 출신을 총독으로 임명할 수 있도록 법령을 개정하였다.
  • 1920년대 지방 자치의 명분으로 도평부·면 의회를 설치하였다.
  • 1920년대 선일보, 아일보 등의 창간을 허용하였으나 검열 제도를 강화해 통제하였다.
  • 1920년대 헌병 경찰 제도에서 보통 경찰 제도를 시행하고 형령을 폐지하였다.
  • 1920년대 독립운동가와 사회주의 운동을 탄압하기 위한 치안 유지법을 공포하였다.
  • 1920년대 제2차 조선 교육령의 시행으로 보통학교 수업 연한이 6으로 연장되고, 한국인의 설립이 가능하게 되었다.
  • 1920년대 이상재, 이승훈 등을 중심으로 립 대학 설립 운동이 추진되었다.
  • 1920년대 일제는 한국인을 회유하기 위해 경성 제국 대학을 설립하였다.
1920년대 경제 침탈
  • 1920년대 회사령이 허가제에서 신고로 바뀌었고 일본 상품에 대한 가 폐지되었다.
  • 1920년대 조만식 등의 주도로 물산 장려 운동이 평양에서 시작되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.
  • 1920년대 일본 내 쌀 부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산미 증산 계획을 시행하였다.
  • 1920년대 삼미 증산 계획의 추진으로 미곡 중심의 작형 농업 구조가 심화되었다.
  • 1920년대 삼미 증산 계획 추진 과정에 지주가 수리 시설 개선 비용을 소작농에게 전가하여 수리 조합 반대 운동이 일어났다.
1930년~40년대 민족 말살 통치
  • 민족 말살 통치 시기에 한국인을 침략 전쟁에 이용하기 위해 추진한 황국 신민화 정책으로 황국 신민 서사 암송, 신사 참배, 창씨개명, 성 요배 등을 강요하였다.
  • 민족 말살 통치 시기에 독립운동을 탄압하기 위한 조선 사상범 보호 찰령조선 사상범 예방 금령이 제정하였다.
  • 민족 말살 통치 시기에 사용을 금지하고, 조선어 학회 사건을 일으켜 최현배·이극로 등의 학회 회원을 구금하였다.
  • 민족 말살 통치 시기에 3·4차 교육령이 공포되고 소학교의 명칭이 국민학교로 변경되었다.
1930년~40년대 경제 침탈
  • 1930년대 전반에 일제는 대공황의 위기에서 벗어나고자 주 사변을 일으켰다.
  • 1930년대 만주 사변 이후 전쟁 물자 보급을 위해 한반도를 참 기지화하고, 공업 원료 증산을 위해 면북양 정책을 시행하였다.
  • 1930년대 만주 사변 이후 대공황으로 더욱 궁핍해진 농민의 저항을 무마하기 위해 자력갱생을 내세운 농촌 진흥 운동을 추진하고, 조선 지령을 제정하였다.
  • 1930년대 중·일 전쟁 이후 국가 총동원이 제정되어 미곡 출제, 식량 급제, 금속류 공출제 등이 시행되었다.
  • 1930년대 중·일 전쟁 이후 국가 총동원법에 근거하여 국민 용령, 여자 정신 근로이 공포되었다.
  • 1930년대 중·일 전쟁 이후 한국인을 침략 전쟁에 이용하기 위해 지원병제, 학도지원병제, 병제를 차례로 시행하였다.